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0

잘 씹어먹는 음식이 소화가 잘 됩니다 급하게 먹는 습관이 역류성 식도염 부른다 한국인들에게 빨리 문화가 빨리 먹는 습관으로 인해 소화기관뿐만 아니라 다른 장기에도 예상하지 못한 질병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씹지 않고 빨리 먹는 게 일상이 돼 버린 현대인들, 씹는 것은 운동처럼 신경 써서 챙겨야 하는 쉽지 않은 일이 되어 버렸습니다. 위 식도역류증이란,위에서 분비되는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식도점막에 염증과 궤양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가장 큰 원인은 기름기 많은 식생활이며, 기름기 많은 음식들은 위와 식도 사이에 있는 하부식도 괄약근의 압력을 낮춰서 강한 산들이 식도 쪽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만듭니다. 현재 한국의 인구 10% 정도가 역류성 식도염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과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한 수치로, 서구화된 식습관.. 2023. 1. 4.
젊음과 건강을 지키는 것이 바로 근육이다 근육이 뼈와 관절의 파수꾼입니다 근육은 사람의 모든 신체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신체기관이다. 근육은 골격근육, 내장근육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각각의 위치에서 힘을 만들어 내고 움직임을 유발하는 기능을 한다. 심장근육과 내장근육은 수축을 조절할 수 없는 불수의근으로, 심장이 수축하여 혈액을 순환하도록 하고 소화기관이 연동운동을 통해 음식물을 이동하도록 하는 등의 생명활동에 꼭 필요한 근육입니다. 골격근육은 수의근으로 안구를 움직이고 허벅지 근육을 수축하는 등 몸을 미세하게 조절하고 움직이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수의근에는 빠르게 수축하는 근섬유와 느리게 수축하는 근섬유 두 가지가 존재합니다. 느리게 수축하는 근섬유는 지구력이 좋아 오랫동안 수축을 유지할 수 있지만 큰 힘을 낼 수 없고 빠르게 수축하는 근섬.. 2023. 1. 3.
관절이 튼튼해야 노년이 행복합니다 퇴행성관절염, 노인이 아니라도 찾아옵니다 인간의 골격을 이루는 것은 206개의 뼈지만, 그 뼈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뼈와 뼈 사이에 있는 100여 개의 관절입니다. 무릎 관절에 생길 수 있는 질환의 종류만도 120여 가지에 달합니다. 관절은 다양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기관입니다. 사람은 걸어 다닐 때도, 앉거나 일어설 때도, 음식을 씹을 때도 관절을 필요로 합니다. 그런데 잘못된 생활 습관이 관절을 망가뜨리고 있습니다. 하이힐과 컴퓨터, 모바일기기 등에 의하여 지금 우리의 관절이 위험합니다. 지금까지 퇴행성관절염은 노화에 따른 연골의 변화를 뜻하는 말이었습니다.나이가 들수록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이 점진적인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고 있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나서.. 2023. 1. 2.
한국인의 뇌졸증이 젊어지고 있습니다 한국인 뇌졸중 40대, 50대가 늘고 있다 뇌졸중은 뇌에 퍼진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는 증상으로, 뇌 속에 산소와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그 부위의 뇌세포가 죽게 되고, 결국 뇌에 큰 손상을 주게 됩니다. 그 로 인해 신체 부위에 마비가 오거나 의식 장애가 와 갑자기 쓰러지게 되는 것입니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노인들이 뇌졸중으로 쓰러졌습니다. 최근에는 40대, 50대도 뇌졸증으로 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최근 뇌졸중 발병 패턴을 살펴보면 40대, 50대 환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수원의 한 대학병원에서 최근 5년간 뇌출혈 수술받은 환자의 50% 이상이 40대, 50대라 합니다. 뇌경색의 경우도 40대, 50대의 환자수가 매년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뇌졸중의 대표 질 환인 뇌.. 2023. 1. 1.